맨위로가기

부안군의 농어촌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안군의 농어촌버스는 부안군 내의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부안읍을 기점으로 각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행한다. 2018년 1월부터 단일 요금제가 시행되어 일반 버스는 성인 1,000원, 청소년 및 어린이는 현금 100원/카드 50원으로 요금이 인하되었다. 노선은 10번부터 860번까지, 그리고 마실길 순환버스 66번이 있으며, 각 노선은 부안읍을 중심으로 부안군 내의 주요 지역 및 관광지를 연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안군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부안군의 교통 -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29호선은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충청남도 서산시까지 이어지는 200km가 넘는 국도로,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확장 개통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지나며 여러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는 주요 교통로이지만, 일부 구간은 개선이 필요하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군산시의 시내버스
    군산시 시내버스는 2002년 노선 개편 후 단일 체계를 유지하며 2009년 대한민국 최초로 모든 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 새만금 방조제 연결로 신설 노선이 생겼고, 근대관광 활성화를 위한 버스 신설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며, 현재는 인구 변화에 따른 노선 조정 및 스마트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익산시의 시내버스
    익산시의 시내버스는 익산시 전역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도시순환, 좌석, 간선, 일반 버스 등 다양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드 이용 시 환승이 가능하고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부안군의 농어촌버스
부안군 농어촌버스 정보
지역부안군
구분농어촌버스
관리 기관부안군청 지역경제과
서비스 지역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기타 지역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김제시, 고창군
노선 수35
인가 대수43
지불 수단교통카드, 현금
선불 카드
후불 카드
웹사이트

2. 운임

2017년 1월 16일 요금 인상[3] 이후에는 이동 거리에 따라 요금이 추가되는 거리 비례 요금제가 적용되었으나, 2018년 1월부터 '''단일 요금제'''가 시행되어 거리에 관계없이 동일한 요금을 적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특히 청소년과 어린이 요금이 크게 인하되어 대중교통 이용 부담이 줄었다.

2. 1. 현행 요금

2018년 1월부터 '''단일 요금제'''가 시행되어 좌석버스, 일반버스 구분 없이 모든 노선의 요금이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는 2017년 1월 16일 요금 인상 이후 변경된 사항이다.[3]

구분대상현금 (원)카드 (원)
일반 / 좌석 통합성인 (만 19세 이상)1,000950
청소년 (만 13세 ~ 18세)10050
어린이 (만 7세 ~ 12세)10050


  • 단일 요금제 시행 이전에는 7km까지 기본요금을 적용하고, 이후 1km당 116.14KRW의 추가 요금이 있었으나, 현재 단일 요금제 하에서는 거리에 관계없이 위 표의 요금이 적용된다.
  • 단일 요금제 시행으로 청소년 및 어린이 요금이 현금 100원, 카드 50원으로 크게 인하되어 학생들의 대중교통 이용 부담을 덜어주었다.

2. 2. 과거 요금

2017년 1월 16일에 요금이 인상되었다.[3] 당시 요금은 아래 표와 같다.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
좌석어른 (만 19세 이상)1,000950일반어른 (만 19세 이상)1,000950
청소년 (만 13세 ~ 18세)10050청소년 (만 13세 ~ 18세)10050
어린이 (만 7세 ~ 12세)10050어린이 (만 7세 ~ 12세)10050


  • 7km 이내 구간은 기본요금이 적용되었으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 1km당 116.14KRW의 추가 요금이 붙는 거리 비례 요금제가 적용되었다.


이 요금 체계는 2018년 1월부터 '''단일 요금제'''가 실시되면서 변경되었다. 단일 요금제 시행 이후 일반버스에서는 성인 요금은 1000KRW, 청소년 및 어린이 요금은 현금 100KRW 또는 카드 50KRW으로 조정되었다.

3. 노선 목록

부안군농어촌버스부안읍을 기점으로 하여 군내 각 지역 및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는 노선 체계를 갖추고 있다. 대부분의 노선이 부안읍에서 출발하여 격포항, 내소사, 변산해수욕장, 모항해수욕장 등 주요 지점을 운행하며, 일부 노선은 인접한 정읍시 지역까지 연장 운행하기도 한다. 또한,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부안 마실길 등을 순환하는 노선도 운영 중이다. 자세한 노선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부안읍 기점 노선

61번: 대초리만 경유
62번: 대초리, 장동리 경유
63번: 신목만 경유70부안➡️부안동진, 간척지160~24080부안➡️부안동진, 문포55~19090, 91부안➡️부안동진, 청운동100~20091번: 장등리 경유100부안↔️격포항변산해수욕장40~60좌석버스200, 201, 211, 212, 213, 214, 215부안↔️격포항(200),
모항해수욕장(211, 212),
반월(214, 215),
궁항(213)섶못(하서),
변산해수욕장, 고사포40~60
(주말, 공휴일 40~150)211번: 모항까지 운행
212번: 소격포 경유 모항행
213번: 궁항까지 운행 (일부 시간대 부안댐 경유)
214번: 반월리까지 운행
215번: 소격포 경유 반월리행300, 301, 310, 320, 330, 350부안↔️내소사(300, 350),
격포항(310),
우동·호암(320),
마동(330)상서, 줄포농공단지, 줄포상설시장, 줄포터미널, 청자박물관, 곰소터미널10~60310번: 격포항행
320번: 유천·호암행
330번: 마동행 (1일 1회)
350번: 백포 경유 (1일 2회)
첫차에 한해 10분 간격500, 501, 511, 512, 516, 518부안↔️줄포터미널(500),
난산마을(511),
신흥리버스정류장(516, 518),
후포리(512)주산, 줄포농공단지, 줄포상설시장50~80511번: 원난산행
512번: 후포리행
516번: 신흥행
518번: 흥산 경유520부안➡️부안주산, 부골120~240530, 533, 534, 535부안➡️부안주산,
예동, 홍해, 백석교, 구담, 덕림60~240530번: 구담, 덕림 경유
534번: 예동 먼저 경유
535번: 홍해 먼저 경유550부안➡️부안주산, 사산리1일 3회560부안➡️부안주산, 흥산1일 2회600부안↔️계화면 양지마을동진, 창북20~60첫차에 한해 20분 간격610부안↔️조포리동진, 창북90~200620, 630부안↔️돈지리섶못(하서)60~200일부 시간대 620번 창북까지 운행
630번: 수조리 경유640부안↔️돈지리청호리10~120일부 시간대 석불산, 계곡 경유660부안↔️양산리60~200700, 701, 710부안↔️사자동(변산반도국립공원주차장)상서, 백천내120~150720부안↔️개암사상서1일 2회800, 810부안↔️석교행중리, 평교60~240800번: 대수리까지만 운행830, 831, 832, 833부안↔️영원주유소(정읍)(830),
백산(832, 833)백산, 평교45~120831번: 행중리 경유
832번: 하동까지 운행
833번: 현호리까지 운행840부안↔️화호백산1일 3회현재 폐지됨850, 851부안↔️가다리행중리, 평교1일 3회851번: 월신리까지 운행860부안↔️팔남행중리, 평교1일 4회66
(마실길 순환버스)
내소사, 부안↔️새만금전시관마동, 모항, 궁항, 격포, 변산부안 출발: 1일 2회
내소사 출발: 1일 5회2회 신시도까지 운행
(부안 출발 1회, 내소사 출발 1회)


3. 2. 마실길 순환버스 (66번)

'''66번''' 버스는 '''마실길 순환버스'''라는 이름으로 운행되며, 부안의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내소사 또는 부안에서 출발하여 마동, 모항, 궁항, 격포, 변산 등을 거쳐 새만금전시관까지 운행한다.

운행 횟수는 부안 출발 1일 2회, 내소사 출발 1일 5회이다. 이 중 부안 출발 1회와 내소사 출발 1회, 총 2회는 신시도까지 연장 운행한다.

참조

[1] 문서 M형과 MT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2] 문서 M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3] 뉴스 시내버스 요금 줄줄이 인상 http://www.sjbnews.c[...] 새전북신문 2017-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